동북아역사재단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로고 동북아역사재단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로고

[보도자료] 동북아역사재단·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공동주최<광복 80주년 기념 국제학술회의> 개최
  • 조회수 775

동북아역사재단·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공동주최<광복 80주년 기념 국제학술회의> 개최

- 한국 현대사의 새로운 시각: 탈식민, 군정, 민주주의

광복 80주년 포스터 (1)

 

  동북아역사재단(이사장 박지향)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원장 정긍식),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원장 안도경)과 함께 오는 84()부터 5()까지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한국 현대사의 새로운 시각: 탈식민, 군정, 민주주의를 주제로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한다.

 

2025년은 광복 80주년을 맞는 해이다. 광복은 식민지 지배의 극복과 새로운 국가 질서를 모색하는 복합적인 과정이었다. 이번 학술회의에서는 탈식민화, 군정, 헌법제정, 전쟁 범죄 등 한국 현대사의 중요한 주제들을 다양한 시각에서 살펴보고 기존의 역사 서술을 넘어 보다 깊이 있고 확장된 논의를 모색하는 계기를 만들고자 마련되었다. 한국, 미국, 유럽, 일본 등 다양한 지역에서 활동하는 46명의 국내외 연구자들이 참여하여 이틀 동안 7개 패널에서 발표와 토론을 이어갈 예정이다.

 

기조강연은 스탠포드 대학의 스티븐 코트킨(Stephen Kotkin) 교수가스탈린과 한국: 계산과 계산 착오, 그리고 그 결과를 주제로 스탈린의 결정이 광복 후 한국 정세에 미친 영향을 밝힌다. 7개 주제와 발표자는 다음과 같다.

 

84()

시간

구분

프로그램

09:00 ~ 10:30

개회사

박지향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

환영사

유홍림 (서울대학교 총장)

기조연설

스티븐 코트킨 (스탠포드대학교)
스탈린과 한국: 계산과 계산 착오, 그리고 그 결과

패널 1. 일본사의 관점에서 본 한국의 탈식민화

10:40 ~ 12:40

사회

김현철 (동북아역사재단)

발표1

아사노 토요미 (와세다대학교)
일제 패망과 한일국교 정상화의 사이

발표2

마쓰타니 모토카즈 (도호쿠가쿠인대학교)
공식적 탈식민과 비공식적 재회: 탈식민시대의 한일 기독교 지식인

발표3

최덕효 (메릴랜드대학교)
'사건'으로서의 탈식민: 한국 독립과 일본에의 영향

발표4

한나 셰퍼드 (예일대학교)
항구에서의 탈식민: 1945-1947년 부산과 하카다의 관점에서

토론

조윤수 (동북아역사재단)

정지희 (서울대학교)

12:40 ~ 14:20

 

점심 식사

패널 2. 미군정기에 대한 새로운 접근

14:20 ~ 15:50

사회

신복룡 (건국대학교)

발표 1

문유미 (스탠포드대학교)
제국의 군인과 운동가적 정치인: 존 하지, 이승만, 그리고 미군정의 정치사

발표2

임채성 (릿쿄대학교)
분단 경제의 위기와 국민 경제의 창출: 1940년대 후반의 한국

발표3

이택선 (명지대학교)
1946년 총파업과 대구 10.1 사건의 재구성

토론

김명섭 (연세대학교)

이완범 (한국학중앙연구원)

패널 3. 이승만에 관한 논쟁

16:00 ~ 18:00

사회

김호섭 (중앙대학교)

발표1

양성익 (애리조나주립대학교)
이승만의 자유주의의 재고찰

발표2

차현지 (독립기념관)
태평양 전쟁 시기 이승만의 군사 외교의 특성

발표3

오영섭 (연세대학교)
미군정 하에서 이승만의 단독 정부 수립 제안

발표4

데이비드 필즈 (매디슨위스콘신대학교)
신뢰 없이 신탁통치도 없다

토론

이철순 (부산대학교)

정병준 (이화여자대학교)

 

85()

시간

구분

프로그램

패널 4. 1948~1950년 헌법제정과 제헌국회기의 정치

09:00 ~ 10:30

사회

강원택 (서울대학교)

발표1

안도경 (서울대학교)
제헌국회시기(1948~1950) 한국의 정치체제

발표2

고중용 (서울대학교)
극우적이라는 오해제헌국회의 이념적 풍경

발표3

서희경 (서울대학교)
비상헌법과 한국 대통령제의 형성

토론

이승열 (역사문제연구소)

권기돈 (부산시청)

패널 5. 북한의 형성

10:30 ~ 12:40

사회

하용출 (워싱턴대학교)

발표1

이휘성 (국민대학교)
1945년 북조선 소련군 정권의 편성과 김일성의 등장

발표2

발라즈 살론타이 (고려대학교)
사회주의 세계의 먼 친척: 1945-1950년 유럽 시각에서 본 북한

발표3

클라우디우스 김 (스탠포드대학교)
두 혁명의 엮임: 1945~1950년 중국 내전 속 연안파와 북한 혁명의 한국 이주민들

발표4

현명호 (동북아역사재단)
주변부 시각으로 본 북한 국가 형성: 1945~1950년 원산 사례를 중심으로

토론

문미라 (서울시립대학교)

김태윤 (서울대학교)

12:40 ~ 14:20

 

점심 식사

패널 6. 언어의 복원과 교육 및 대학의 재건

14:20 ~ 15:50

사회

황재문 (서울대학교)

발표1

허재영 (단국대학교)
미군정기 어문정책과 교과서

발표2

정준영 (서울대학교)
민주교육과 민족교육의 사이: 국대안 전과 후의 오천석

발표3

윤해동 (한양대학교)
문리대학의 설립과 '문리대 신화'의 형성

토론

장신 (한국학중앙연구원)

패널 7. 전쟁 범죄, 배상, 그리고 기억

16:00 ~ 18:00

사회

남상구 (동북아역사재단)

발표1

바락 쿠쉬너 (캠브릿지대학교)
승리의 피해자들: 전후 동아시아의 권력과 전략

발표2

토노무라 마사루 (도쿄대학교)
역사 인식의 차이는 왜 생기는가: 약한 제국의 강한 동원의 영향

발표3

박정애 (동북아역사재단)
'피해 인정'이라는 딜레마와 자기기억으로부터의 소외

발표4

임지현 (서강대학교)
희생자의식 민족주의: 동아시아의 기억체제와 좌절된 화해

토론

서종진 (동북아역사재단)

마이클 김 (연세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