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집합연수 개요
o 연수 내용 : 독도가 한국영토라는 근거, 논리 확보, 독도수호의지 강화와 학교 현장으로의 전파
o 연수 대상(인원) : 전국 초·중등 교원 150명
o 연수 기간
- 1기 : ’17. 7. 17(월) ~ ’17. 7. 19(수) (3일, 15시간, 50명)
- 2기 : ’17. 7. 20(목) ~ ’17. 7. 22(토) (3일, 15시간, 50명)
- 3기 : ’17. 8. 7(월) ~ ’17. 8. 9(수) (3일, 15시간, 50명)
o 이수기준 : 독도 교원연수는 독도 집합·탐방연수 통합운영으로 집합연수 15시간, 탐방연수 18시간을 연수하여 총 연수시간 33시간의 80%이상을 출석하여야 이수 처리
o 교육과목 구성(안)
시간 일자 | 1교시 | 11:30 ~13:00 | 2교시 | 3교시 | |
09:40 ~ 11:30 | 13:00 ~ 14:30 | 14:30 ~ 16:10 | |||
제1일 (1기) 7.17. (2기) 7.20. (3기) 8.7. | 최근 일본의 독도 관련 동향과 우리의 대응 | 중식 | 고종의 울릉도 조사와 대한제국 칙령 제41호 | 19세기 조·러 관계와 독도 | |
홍성근(동북아역사재단) | 이원택(동북아역사재단) | 김영수(동북아역사재단) | |||
제2일 (1기) 7.18. (2기) 7.21. (3기) 8.8. | 극동에서의 Map Trade와 독도의 발견 | 중식 | 동북아영토문제의 역사적 연원과 현황 | 독도와 한일관계: 전후를 중심으로 | |
이상균(동북아역사재단) | 이명찬(동북아역사재단) | 곽진오(동북아역사재단) | |||
제3일 (1기) 7.19. (2기) 7.22. (3기) 8.9. | 한일협정의 경과와 독도이슈 | 중식 | UN 해양법 협약과 독도 | 동해표기의 역사적 경과와 현황 | |
도시환(동북아역사재단) | 유하영(동북아역사재단) | 유의상(동북아역사재단) | |||
제4일 (1기) 9.13. (2기) 9.20. (3기) 9.27. | <독도탐방> 재단-출발항(묵호/포항)-울릉도(현포 수토사 비석, 울릉도 망루터, 나리분지 등 독도 관련 유적지)-수업 사례 발표 | ||||
제5일 (1기) 9.14. (2기) 9.21. (3기) 9.28. | <독도탐방> 울릉도-독도(동도 도착, 경비대 방문 등)-울릉도(독도 특강) | ||||
제6일 (1기) 9.15. (2기) 9.22. (3기) 9.29. | <독도탐방> 울릉도(독도박물관 견학 등)-도착항(묵호/포항)-재단(해산) |
- 첨부파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