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역사재단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로고 동북아역사재단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로고 뉴스레터

NAHF 소식
시마네현 소위 ‘죽도(竹島)의 날’에 대한 단상
  • 석주희 독도연구소 연구위원

매년 2월 22일, 일본 중부지역의 한 소도시에서는 소위 ‘죽도(竹島)의 날’ 행사를 개최한다. 겨울과 봄 사이 아직 추위가 가시지 않은 스산한 이른 아침, 불현듯 확성기를 매단 검은색 우익단체의 차량들이 나타나 가두시위를 시작한다. 행사장 주변에는 경찰 수백 명과 언론 기자들이 둘러싸고 있다. 오후 1시 행사가 시작되자 비로소 주변은 고요해진다.

올해로 20년이 된 ‘죽도의 날’ 기념식은 예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개최되었다. 정부 대표로는 이마이 에리코(今井絵理子) 내각부 정무관이 참석했으며, 국회의원은 신도 요시타카(新藤義孝)를 비롯하여 자민당 8명, 입헌민주당 2명, 국민민주당 1명, 참정당 1명 등 총 12명이 참석했다. 오히려 국회의원 참석자 수는 2024년도 14명보다 2명이 감소했다. 

지역사회의 분위기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작년 11월 19일 오키노시마정(隠岐の島町) 문화회관 대강당에서 개최한 ‘죽도영유권확립운동 오키노시마정(단독)집회’와 올해 1월 1일부터 연이어 ‘죽도’ 기획 특집 기사를 게재한 『산인주오신보(山陰中央新報)』의 취재 이외에 별다른 움직임이 보이지 않았다. 규모 면에서도 20주년 기념식이라기엔 행사를 개최하기 위한 최소한의 인원이 모인 정도였다. 일본 정부에서 파견하는 차관급 인사와 국회의원, 현 의원, 지역 단체 관계자 400명을 제외하면 자발적으로 참여한 일반 시민 참가자는 65명 정도에 불과했다.

소위 ‘죽도의 날’ 기념식은 유튜브와 지역방송을 통해서도 생중계되었다. 이를 통해 확인한 기념식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시마네현이 아닌 중앙정부(국가)가 주도하는 ‘죽도 반환’ 운동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시마네현과 오키노시마정 관계자들은 ‘죽도의 날’ 기념식을 도쿄에서 일본 정부 주최로 개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회의원들은 국제사법재판소를 통한 ‘죽도’ 문제 해결과 교육·홍보를 통한 국민의 관심 유도, 국제사회 호소 등을 강조했다. 재단의 독도체험관을 모델로 삼아 오는 4월 중순 리뉴얼 재개장을 앞둔 영토·주권전시관에 관한 홍보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또한, 행사 중간에는 영토·주권전시관 리뉴얼 관련한 홍보 영상이 상영되었다. 

image.png

일본 시마네현 ‘죽도의 날’ 기념식(출처: 독도사랑운동본부‧경북매일, 2025. 2. 23.)

주최 측 환영사에서 마루야마 다쓰야(丸山達也) 시마네현 지사는 “시마네현이 2005년 ‘죽도’의 날을 정하는 조례를 제정한 이래 일본 정부의 움직임이 강화되었다. … ‘죽도’는 국가 간 문제로 외교교섭의 장에서 논의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이케다 코세이(池田高世偉) 오키기성동맹 회장은 “‘죽도’에서 어업활동을 했던 오키 어민들은 이미 사망했거나 그 자손들도 고령화하고 있다. … 전국적인 관심을 고취시키기 위해 작년 오키노시마정에서 14년 만에 ‘죽도’ 집회를 개최했다”며 재차 여론의 관심을 호소했다. 일본 정부 대표로 파견된 이마이 에리코 정무관은 “‘죽도’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입장은 일관되며 국제법에 기반하여 해결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일본 언론 기사에 따르면 총리가 아닌 정무관이 기념식에 참석한 것에 대해 객석에서 고성으로 항의가 있었다고 한다. 2011년 8월 1일 울릉도 방문을 강행했던 신도 요시타카 의원은 “막대한 예산을 들여서 리뉴얼한 영토·주권전시관이 올봄에 개관한다. 영상을 통해 ‘죽도’를 실제로 가 본 것처럼 체험할 수 있다”며 홍보했다. 국회의원 단체 ‘일본 영토를 지키기 위해 행동하는 의원연맹’ 회장이기도 한 신도 요시타카 의원은 전국 곳곳에 영토·주권전시관을 만들 수 있도록 국회에 제안하겠다고 공언했다.

이외에 주목할 만한 발언으로는 기하라 미노루(木原稔) 자민당 중의원 의원의 “올해는 시마네현 편입 120주년으로 한국이 불법점거를 지속하고 있다. …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이하여 여당과 야당, 시마네현, 국민이 하나가 되어 ‘죽도’ 문제를 해결하도록 해야 한다”, 가미야 소헤이(神谷宗幣) 참정당 참의원 의원의 “일본의 국력이 무너지고 있다. 정치력이 없으면 상대방을 설득할 수 없다. 경제 문제를 먼저 해결하고 영토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마이타치 쇼지(舞立昇治) 자민당 참의원 의원의 “올해 트럼프 정권이 탄생했다. 트럼프 대통령에게 한미일 관계에 앞서 ‘죽도’ 문제를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등이다. 시마네현 지역구 의원인 가메이 아키코(亀井亜紀子: 입헌민주당 중의원 의원)는 반환 운동의 성과로 영토·주권대책기획조정실 설치, 학습지도요령 ‘죽도’ 관련 기술 명기, 영문 홍보 책자 발간 등을 언급하며 일본 정부의 지원에 대하여 감사를 표했다.

내빈 발언을 마친 후 후쿠다 마사아키(福田正明) ‘죽도’ 영유권확립 시마네현의회 의원연맹 회장의 ‘죽도’ 영유권 조기 확립을 요구하는 특별결의문 낭독과 강연회가 이어졌다. 특별결의문은 작년과 동일한 내용으로 국민 여론 홍보 및 ‘죽도’ 조사 연구 등 7개 결의 사항을 제시했다. 강연회는 시마네현 ‘죽도’ 문제연구회 좌장인 시모조 마사오(下条正男)와 부좌장인 사사키 시게루(佐々木茂)가 강연자로 등장했다. 시모조 마사오는 재단 독도체험관과 울릉도, 삼척 등 독도 관련 시설 사례를 들며 영토·주권전시관 리뉴얼 개관을 홍보했다. 사사키 시게루는 고등학교 교사로서 학생들이 ‘죽도’ 문제를 본인의 문제로 인식하길 바란다는 내용으로 ‘죽도’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image.png

시마네현 죽도자료실(필자 촬영)

올해로 제20회가 된 시마네현 ‘죽도의 날’ 기념식이 강연회를 끝으로 막을 내렸다. 주최 측의 한 인사는 언론사 인터뷰에서 “‘죽도의 날’ 기념식을 하지 않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지금은 기념식을 개최하는 것 자체가 목적이 되고 있다. 이것이 문제다”라고 지적했다. 시마네현은 지난 20년간 일본 내 ‘죽도’ 반환 운동을 이끌어왔다. 시마네현 ‘죽도의 날’은 지자체 주도의 한계, 반환운동을 주도해 온 세대의 고령화, 일본 국민의 저조한 관심 속에서 점차 동력을 잃어가는 듯하다.

OPEN 공공누리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출처표시 - 상업적이용금지 - 변경금지)

동북아역사재단이 창작한 '시마네현 소위 ‘죽도(竹島)의 날’에 대한 단상'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