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동남아시아 점령과 지배 | ||
|
| |
o 저자 | 김영숙 | |
o 사양 | 46배판 | 470쪽 | |
o 분류 | 자료총서 74 | |
o 정가 | 32,000원 | |
o 발간일 | 2024년 12월 30일 | |
o ISBN | 979-11-7161-162-1 | |
|
| |
| ||
저자 | ||
김영숙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도쿄대학교 일본사학과 박사 주요 저서로 『대동아공영권의 허상과 모순-『사진주보』로 보는 일본의 동남아시아 침략』(동북아역사재단, 2022),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전시 일본의 프로파간다』(동북아역사재단, 2021), 『하라 다카시, 평민 재상의 빛과 그늘』(살림, 2010), 『근대 일본의 동아시아 정책』(선인, 2009) 등이 있다.
| ||
도서 소개 | ||
오늘날 동남아시아는 인도차이나반도와 말레이제도로 구성되며, 동티모르를 포함한 11개국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책에서는 일본의 점령을 경험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네덜란드령 동인도(인도네시아), 미얀마,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필리핀, 그리고 일본과 협력했던 태국을 중심으로 사료를 수집했다. 또한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령이었던 인도 관련 사료도 포함했는데, 이는 자유인도 임시정부 등 인도 독립운동 단체들이 동남아시아에서 활동했고, 인도국민군이 일본군과 함께 임팔작전을 추진했기 때문이다. 한편, 국제연맹이 제1차 세계대전 후 일본에 독일 식민지였던 남양군도를 위임통치하게 한 지역은 지면 관계상 제외했다. 시기적으로는 실질적인 침략의 시작인 1940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진주부터 패전이 임박한 임팔전쟁, 인도네시아 독립 문제까지를 다루었다.
| ||
차례 | ||
책머리에 일러두기 전체 해제
제1장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와 일본 해제 1. 마쓰오카 대신(松岡大臣), 앙리대사 간 정식 교섭 개시 이전의 경위 2.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태국에 대한 시책 요강 1941년 1월 30일 대본영정부연락회의 의사록 1)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태국에 대한 시책 요강 2)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태국에 대한 시책 요강에 관한 주상(奏上) 3) 내각 총리대신 소요 사항 설명 4) 참모총장 소요 사항 설명 3. 일본의 북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및 남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침략에 관한 사료 1) 제1. 군사상 관점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이유에 대해 2) 제2. 경제상의 관점에서 절대 필요한 이유에 관해(별지 제4 참조) 3) 제3. 정치상의 관점에서 절대 필요한 이유에 대해(별지 제5 참조)
제2장 개전 준비와 동남아시아 대책 해제 1. 개전 결정 과정 1) 제국 국책 수행요령(어전회의 의제) 2) 참모총장 설명 3) 1941년 11월 5일 어전회의 결정 ‘제국 국책 수행요령’에 관한 대외 조치 4) 영・미・네덜란드에 대한 무력 발동 이유 및 전쟁상태 발생에 관한 선언(남양국) (안) 2. 동남아시아 점령지 군정 계획안 1) 남방점령지 행정 실시 요령 대본영-정부 연락회의 결정 2) 남방작전에 따른 점령지 통치 요강 1941년 11월 25일 3) 1941년 11월 26일 결정 점령지 군정 실시에 관한 육해군 중앙협정 4) 남방점령지 군정 실시의 대요 3. 동남아시아 화교 대책 1) 화교대책요강에 관한 건 2) 1942년 2월 14일 화교대책요강
제3장 동남아시아에 대한 일본의 군사적, 경제적 침략 해제 1. 동남아시아에 대한 일본의 군사적 침략 1) 타이완군사령관에게 부여하는 훈련 별책 1941년도 제국육군작전계획 요령 2) 데라우치 히사이치(寺内寿一)와 남방군의 활동 2. 동남아시아에 대한 일본의 경제적 침략 1) 남방 여러 지역에 대한 통화금융제도의 기본방침, 그리고 태국 및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대한 당면의 조치에 관한 건 2) 남방 갑(甲)지역 경제대책 요강 3) 남방자원
제4장 일본의 동남아시아 지배와 ‘독립’ 부여 해제 1. 버마 공작 1) 버마 공작에 관한 건 2) 하야시집단 군정업무 개황 3) 하야시집단 군정 실시 요령 4) 태면(泰緬)연접철도 건설에 따른 포로 사용 상황 조서 2. ‘버마국’ 독립 과정 1) 버마 중앙행정기관 설립준비 및 행정부 설립에 관한 자료 2) 버마 독립지도 요강 3) 도조(東条) 내각총리대신 ‘바모’ 버마 행정부 장관 4) 일본 ‘버마’ 간 동맹조약안 5) 바모 회고록 3. 필리핀 지배와 ‘독립’ 부여 1) 필리핀 독립 지도 요강 2) 일본국・필리핀국 동맹조약안 3) 일본국・필리핀국 동맹조약 부속 양해 사항안, 자유인도 임시정부 승인에 관한 건 4) 호세 라우렐 대통령 회고록 4. 태국과 일본의 관계 1) 영토 문제에 관한 일본 태국 간 교환 공문 5. 인도에 대한 정책 1) 대동아전쟁 관계 1건: 인도 문제 <‘수바스 찬드라 보스’의 인도 임시정부 수립 관계> 2) 제2차 세계대전 중 우리의 인도 시책 경위 개요
제5장 대동아회의 해제 1. 대동아회의 개최 결정과 그 성격 1) 제10회 어전회의에서 내각총리대신 설명 1943년 5월 31일 2) 대동아정략지도대강(1943.5.29 연락회의 결정, 1943.5.31 어전회의 결정) 2. 대동아회의의 내용 1) 1943년 10월 2일 대동아회의에 관한 건 2) 대동아공동선언
제6장 일본의 종전 전략과 동남아시아 해제 1. 일본의 세계 정세 판단 1) 1943년 9월 25일 세계 정세 판단 2) 1944년 8월 19일 세계정세 판단 2. 일본의 동남아시아 대책 1) 1945년 2월 1일 정세의 변화에 대응하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처리에 관한 건 2) 1945년 2월 2일 내각 총리대신 상주문 3) 1945년 2월 26일 인도차이나 정무 처리 요령 4) 동인도 독립 설치에 관한 건 5) 인도네시아 독립 3. 임팔작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