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역사재단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로고 동북아역사재단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로고

[보도자료] 동북아역사재단, 신(新) 중화주의, 중국 중심 역사 서술을 분석·비판한 『중국 시진핑시대 국가 편찬 대학교재의 역사교육』발간
  • 작성일2025.03.19
  • 조회수322

 

 

도서 표지(중국_시진핑시대_국가_편찬_대학교재의_역사교육)

 

 

동북아역사재단(중화주의중국 중심 역사 서술을 분석·비판한

중국 시진핑시대 국가 편찬 대학교재의 역사교육발간

 

 

동북아역사재단(이사장 박지향)은 중국이 국가 주도로 편찬한 대학 역사교재와 역사교육을 분석한중국 시진핑시대 국가 편찬 대학교재의 역사교육을 발간했다.

 

중국은 개혁개방에 따른 탈사회주의화, 소수민족 갈등, 빈부 격차 등 여러 문제를 해결하고 민족 통합과 정치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시진핑 집권 이후 중등 교육과정의 역사교과서를 국정화했다. 나아가 대학 교육에서도 국정화 움직임을 보인다. 20224월 시진핑 총서기가 런민대학 시찰 때 사상 정치 교육을 강조한 후, 각 대학에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 개론과목을 개설하고 중앙선전부ㆍ교육부 편찬 단일 교재를 사용할 것, 중화 우수 전통문화 등을 교육할 것 등을 지시했다. 사상 정치 과목에는 역사가 포함되어 있는데, 역사 교과서는 중국공산당의 뜻을 직접적으로 반영하여 수시로 수정되고 있다.

  

재단은 시진핑 시대의 대학 교육 정책과 역사교육 및 국가 편찬 교재를 분석하는 학술회의를 2021년부터 3차례 개최하는 등 관련 연구를 진행했다. 이 책은 이러한 연구 성과 가운데 13편을 선별하여 수록했다. 구성은 총론 중국 대학 역사교육의 현황과 전망’, 1중화민족공동체와 마르크스주의의 적용’, 2중외 역사에서 한국과 동아시아 서술의 함의’, 3중국사의 재구성, 세계사를 다시 쓰다’, 부록 민족 정책과 언어교육으로 되어있다.

 

중국 정치사상과 국가 정체성의 핵심으로는 중화민족주의와 마르크스주의를 꼽을 수 있는데, 1부에서는 중화민족공동체 이론과 대학 역사교재 집필 경향, 마르크스주의 중국화를 반영한 중국 고대사 서술 등을 살펴보았다. 2부에서는 중국 대학 역사교재의 고조선(4)과 임나일본부 서술 변화, 동아시아 고대의 문화 교류와 전파 서술, 조선시대 한중관계와 문화 서술, 한국전쟁 서술 등을 분석했다. 특히, 일본의 역사학이 중국 근대 역사학의 성립과 발전 및 역사 교과서 편찬에 큰 영향을 끼친 결과, ‘식민사학에 입각한 왜곡된 한국 고대사 인식이 중국학계에 뿌리 깊게 자리 잡았다는 분석과 시진핑 정권이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이라는 국가 정책 속에서 한국전쟁을 미국을 물리친 위대한 승리로 포장해서 민족적 자부심을 고양하는 수단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는 분석은 특기할 만하다. 3부에서는 중국이 세계사의 주요 사건을 어떻게 중국사와 연결하는지를 제2차 세계대전과 현대 세계 경제, 국가 발전 담론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보론에서는 중국의 민족 정책과 언어교육 정책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책은 시진핑 집권 이후 애국주의와 사상교육의 강화를 통해 중국과 세계와의 관계를 재해석하고, 국민 통합과 사상 동원에 필요한 새로운 국가 정체성을 재구성하는 데 국가 편찬 교재가 큰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 역사교재가 과도하게 중국 중심으로 서술되면서 한국을 포함한 주변 국가와의 역사, 문화 갈등을 고조시키는 매개가 될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재단 박지향 이사장은 이 책을 통해 중국이 역사교육을 이용하여 구축하려는 국가 정체성과 전략을 조망하고, 한중 간 역사 서술의 차이가 미래 양국 관계에 미칠 영향을 성찰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